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SWIFT
- Optional
- 생각
- 다짐
- swiftUI
- nodejs
- Double Linked List
- Optional Chaining
- Hashing
- 각도
- Linked List
- Universal Hashing
- enum
- 시계방향
- layout
- vstack
- 베뉴
- optional binding
- stack
- JavaScript
- Test
- 자료구조
- 더채플엣청담
- AlignmentGuide
- 레이아웃
- 좌표공간
- hstack
- 결혼식장계약후기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컴퓨터 기초 (1)
klioop for iOS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kaE6/btq0fjFOCZE/KGy8Ph8cM03zopWfPBfMQk/img.png)
전체적인 큰 그림을 이해하기 위해 자세한 내용들은 제외되거나 생략되었습니다.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세요. 메모리(Memory) 컴퓨터나 프로그램이 변수를 선언하면 컴퓨터는 그것을 어딘가에 저장해야 한다. 예를 들어, foobar = 1 선언하여 숫자 1 을 foobar 변수에 저장하려고 한다면, 이 1 은 컴퓨터 어딘가에 저장되어야 한다. 이 저장되는 장소가 주기억장치, 메모리다. 자세한 내용을 제외하고 Memory 를 그냥 크기가 한정된 하나의 캔버스 라고 생각하자. 그리고 그 캔버스에는 칸(slot) 들이 나눠져 있다. 아래에 그림 같이 생긴 저장소가 컴퓨터 어딘가에 살고 있다고 생각하자. 각 칸 들은 memory slot 이라고 불린다. 여기에서 이 캔버스의 크기가 한정되어(bounded)있다는..
컴퓨터 기초
2021. 3. 16. 14:39